한국콩연구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콩정보센터 KOREA SOYBEAN SOCIETY

콩의 역사와 문화

HOME  >  콩정보센터  >  콩 정보 및 자료 >  콩의 역사와 문화
고농서에서의 콩의 기록 By 관리자 / 2018-07-04 PM 08:04 / 조회 : 1300회
*삼국시대의 콩 재배(99~665)
– 중국 史書類(後漢書,三國志)를 통하여, 先史시대의 考古學的 遺跡바굴 결과 三國形成期에 이미     정착되고 있었던 穀物로 밝혀진[五穀 : 조,기장,보리,콩(菽),벼]*[삼국시대로 이어졌다]
– 三國史記 : 逸聖尼師(139),己婁(99)의 <隕霜殺菽>즉 서리가 내려 콩이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 三國史記에는 한결 같이 콩을<菽>*<豆>의 公用呼稱으로 혼재.
– 齊民要術(中國最古農書)에 <흑대두>*<백대두>와 <황고려두>*<흑고려두>가 재배.
– 高句麗의 콩이 중국으로 건너갔다(연대미상).
– 그러므로 三國時代에 흑대두*황대두가 재배.
*고려시대의 콩 재배(136~1391)
– 삼국시대 이래 서리피해 사실이 되풀이되고 있다~재배상 관심도 높음
– 고용호칭<菽>이 그대로 전승하여 오다가, 1376년<豆>로 변화
– 고려시대의 콩 재배는 <황대두>가 주종.
– 鄕藥救急方(1236)에서, 싹 낸 것을 햇볕에 말려 약으로 쓴다 하였다.
– 개간한 밭이나 척박지에도 콩을 재배하였다.
– 콩재배법 : 조파, 만파 등의 파종기 개념의 정립, 작부체계(단작, 후작).
*조선시대 초기의 콩 재배(1430~1613)
– 콩의 생산을 위해 비옥한 밭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 시비를 통한 비옥 화농법 강화.
– 콩은<菽>*<豆>로 표현.
– 콩 품종 : 황대두, 흑대두 또는 황두 흑두 백두로 표기.
*조선시대 중기의 콩 재배(1610~1799)
– 콩의 파종기 분류 : 2월 중순(음)을 상시
3월 중순을 중시
4월 상순을 하시
– 콩은 하지(하지) 후 20일 까지 파종해도 되고 심경할 필요 없다.
– 콩은 적토(적토)를 좋아 한다는 새로운 사실 인정.
– 꽃필 때는 제초를 금하고 필요에 따라 실시.
– 흑두는 3월~4월 조기파종, 제초 시기는 싹이 왕성하게 자란 후.
– 구덩이마다 3~4립→ 2~립으로 적정 파종 량 변경.
– 보리1두를 파종하는 밭이면 콩 3되의 량을 파종.
– 보리와의 윤작, 조와의 혼작을 적극 권유.
– 콩 1 본 엽시 제초, 본엽 5~6매시 제초의 식기 개념 정립.
– 생력 제초 법으로 우구(牛口)에 망을 씌우고 양 이랑사이를 갈아 업는 방법.
– 수확 시기는 9월 중순 잎이 황화 낙엽 할 때.
*조선 시대 말기의 콩 재배(1924~1886)
– 콩 수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토양비옥도, 제초작업, 강수량, 이슬량이 수량을 지배한다는 과학적인 근거 제시.
– 산파 후 흙을 얇게 갈아 업는다, 습한 땅은 심경 후 산파, 주로 점파하되 산파도 허용.
– 제초회수 시기를 불문하고 풀이 우거지면 알맞을 때 제초.
– 근경 법을(根耕法)을* 맥저종(麥底種)대두법(맥간작, 맥후작)으로.
– 보급품종 : 靑太, 黃栗太, 矮太, 頂早太, 長太, 黑豆, 黑大豆, 常豊大豆,
番違大豆, 黑八月大豆, 六月太, 千字豆, 靑解太豆, 棗色大豆, 好羅大豆,
靑鼠目大豆, 黃鼠目大豆, 黑鼠目大豆, 晩種大豆.

105

번호 제목 파일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35 (콩의 기원)우리나라 신석기 집터 콩 출토 관리자 1020 2018-07-04
34 콩의 기원설 관리자 857 2018-07-04
33 근세사의 콩 재배기술 관리자 501 2018-07-04
32 콩의 생산에 영향을 준 사건들 관리자 759 2018-07-04
31 콩이만들어낸 두번째 기적 관리자 918 2018-07-04
30 세계대전과 콩 관리자 811 2018-07-04
29 인류문화와 콩의 역사 관리자 864 2018-07-04
28 두유 관리자 1317 2018-07-04
27 두부 관리자 3647 2018-07-04
26 콩나물 관리자 1221 2018-07-04
1 2 3 4 5 6 7 8 9 10  마지막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