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콩연구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콩정보센터 KOREA SOYBEAN SOCIETY

콩 연구자료

HOME  >  콩정보센터  >  콩 정보 및 자료 >  콩 연구자료
유전체정보기반 콩 품종육성 및 가공제품 개발 (김율호 2015) By 문갑순 / 2018-07-23 AM 12:31 / 조회 : 508회

유전체정보기반 콩 품종육성 및 가공제품 개발

Development of soybean cultivars and soy products based on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주관연구기관 : 국립식량과학원

연구책임자 : 김율호

발행년월 : 2015. 02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원문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500010180

 

연구개발 결과

콩 분자육종플랫폼 구축을 위해 대풍 등 34품종의 전장유전체 정보를 해독하였다. 이를 통해 Variation Block(VB) 기반의 Indel 마커(4bp 이상) 17,127 개를 개발하였다. 또한 유용 QTL 탐색을 위한 황금/대풍 F9세대 RILs 620계통을 육성하였다.

콩 분자육종플랫폼 활용에서는 수량 관련 유용 VB 탐색, 종자크기 및 이소플라본 함량 관련 QTL

탐색 등 VB 기반의 질적형질 탐색 방법(variation block association study, VBAS)을 구축하고 대풍의 제색 개량 등 맞춤형 품종개발에 활용하였다.

품종 인식을 위한 바코드시스템 개발에서는 VB 기반의 Indel 마커 202개를 활용한 바코드시스템과

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MyCrops_soybean) 개발하고 산업체에 기술이전하였다.

대풍 및 황금 콩에서의 종자 발달단계에 따른 전사체 발현비교를 RNA-Seq을 통해 다양한 novel transcriptalternative splicing 발굴하였다. 황금콩에서 대풍 종실 외관 특성 개량을 위한 유용 유전 자 탐침의 주요한 후보군으로서 DHN 유전자의 과발현을 동정 하였으며, 유전자의 기능 분석(종실외관 개선, 재해내성 및 생산성 증대)은 형질전환 효모균주 및 벼 형질전환체에서 확인하였다.

종자발달단계별 RNA-Seq을 통한 이소플라본 합성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품종간의 이소플라본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소플라본의 항산화 효과 및 매커니즘 분석은 효모 균주를 통해 실시하였다.

황금 콩에서의 저온스트레스 하에서 단백질체 분석을 통한 다양한 스트레스 반응유용 유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Vegetative stage에서의 (V1) 품종간(신팔달 2, 신기, 백운, 대풍, 황금)의 유전자 발현분석을 RNA-Seq을 통해 수행 완료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에서의 품종 간의 단백질체 분석을 LC-ESI-MS/MS를 통해 수행하였다. 전사체 및 단백질체 결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품종별 특이 유전 자의 발현을 동정하였다.

초다수성 집단을 이용한 Sequencing based genetic map의 작성 및 장려품종들의 염기서열 변이 정보의 확보 및 수량 관련 QTL 및 유전자의 확인을 위해 풍산나물콩, SS2-2, SS404-T5-76, 대원콩, 신팔달콩2호 등 국내 우량콩 품종 resequencing 수행하였다. 대원콩xS404-T5-76(high-yield line) 의 유전자 지도 작성를 위한 F6세대 recombinant inbred line (RIL) 육성하였다.

초다수성 콩 계통의 육성을 위해 교배조합별 SSD에 의한 F5세대 RIL 육성하였다. 양질 다수성 콩품 종 육성 연구에서는 우량 콩 계통육성, 양질 다수성 계통 생산력검정시험 및 지역검정실험을 통해 우량 다수성 나물용 콩 품종을 기술이전하였다.

최종 선별된 콩 품종 또는 유효성분의 생리활성(암예방/체중조절/피부미용/심혈관질환 예방 효능) 관련 분자표적 단백질 규명연구에서 콩 아이소플라본인 daidzein의 대사체인 7,3’,4’-THIF의 미백 효능 관련 작용기전 및 분자표적을 규명한 결과, 7,3’,4’-THIF를 세포주에 처리시, AKT/mTOR/GSK3beta signal은 활성화되고 MKK3/6/p38/MSK PKA signal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7,3’,4’-THIF alpha-MSH와 경쟁적으로 MC1R과 결합한다는 것을 computer modeling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