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콩연구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콩정보센터 KOREA SOYBEAN SOCIETY

콩 연구자료

HOME  >  콩정보센터  >  콩 정보 및 자료 >  콩 연구자료
야생콩 유래 고 및 저 리놀레릭산 콩 개발을 위한 DNA 마커 개발 (이정동 2013) By 문갑순 / 2018-07-22 PM 11:35 / 조회 : 413회

야생콩 유래 고 및 저 리놀레릭산 콩 개발을 위한 DNA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DNA markers related high and low linolenic acid derived from wild soybean for soybean breeding

 

사업명 : 신진연구지원사업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연구책임자 : 이정동

발행년월 : 2013-07

주관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원문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1300035213&rn=&url=&pageCode=PG18

 

초록

본 연구과제는 야생콩에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물성 오메가 3 지방산인 linolenic acid와 관련이 있는 QTL mapping과 저 linolenic acid 함량 변이계통의 돌연변이를 검정하여 재배콩의 linolenic acid 함량과 관련이 있는 유전적인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각 연구주제별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생콩 유래 고 linolenic acid 함량 콩 육성을 위한 QTL(s) mapping 재료 및 방법: PI483463(야생콩) x Hutcheson(재배콩) 유래 189 F2:6-8 자식계통을 재배환경별로 지방산을 검정하였는데 선행연구로 얻은 2008년과 2009년의 표현형 검정 데이터와 2010년과 2012년 경북군위 경북대학교 실습포장에서 얻은 지방산 데이터를 이용하여 QTL mapping을 하였다. Mapping programQTLNetwork V2.0 이용하였다.

 

주요결과

야생콩 유래 고 linolenic acid에 대한 QTL mapping 결과 9개의 QTL이 발견되었으며 QTL5번과 15번 염색체에 있는 것은 4년중 3년에 걸쳐 나타났으며 각각 7.3%15.9%의 표현형 변이를 보였다. 4년을 종합적으로 평가해보면 발견된 모든 QTL의 표현형 변이가 10% 미만인 minor QTL 들이었고, 발견된 QTL의 전체 표현형 변이는 52.4%이었다. 모든 QTL이 야생콩에서 유래한 것으로 판명이 되었고, 각각의 QTLlinolenic acid 함량을 높이는데 상가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야생콩 유래 저 linolenic acid 관련 Fad3 gene 특성구명

- 야생콩 집단으로부터 저 linolenic acid 야생콩 계통 선발: 국내에서 수집된 야생콩 1806개의 지방산 함량의 변이를 살펴보면, 야생콩의 평균 palmitic acid 함량은 12.5%9.9-18.1%의 범위에 있었고, stearic acid는 평균 3.2%1.4-6.5%의 범위에 있었으며, oleic acid는 평균 12.5%4.7-34.8%의 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linoleic acid는 평균 56.1%39.8-62.7%의 범위에 있었다. Linolenic acid는 평균 15.6%7.3-24.6%의 범위를 보였다.

- 선발된 저 linolenic acid 함량 야생콩의 Fad3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나 의미 있는 돌연변이를 찾지 못하였다.

지방산 함량이 조절된 콩 식물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d2-1A 유전자 및 Fad2-1B 유전자의 기능이 상실된 돌연변이 재배콩 (Glycine max) 식물체를 모본으로하고 야생콩(Glycine soja) 식물체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얻어진 콩 식물체의 종자에서 linolenic acid(오메가 3) 함량은 재배콩 보다 50-100% 증가되고 linolenic acid(오메가 6) 함량은 재배콩보다 20-30% 감소되면서 linolenic acid 함량에 대한 linoleic acid 함량의 비율이 1.5-3.0:1로 감소된 콩 식물체를 개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에서 얻은 연구결과는 고 오메가 3 지방산 함량 콩 품종육성시 야생콩으로부터 관련 유전자를 도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어 콩 품종육성 효율을 증대 시킬 것이다. 또한 본 과제를 수행하면서 얻은 재배콩의 특정 지방산(오메가 6와 오메가 3) 비율 조절에 관한 기술은 콩 기름의 기능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창조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특허 출원된 기술을 바탕으로 오메가6와 오메가 3 지방산 함량이 조절된 콩이 개발될 경우 국내에서 소비되는 다양한 용도의 콩 음식재료(된장, 콩나물, 청국장 등)로 이용될 수 가 있어 자라나는 어린이의 건강 증진, 심혈관 질환 및 각종 성인병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