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정보센터 KOREA SOYBEAN SOCIETY
설사치료에 효과적인 콩 식품에 관한 연구 By 관리자 / 2018-06-29 PM 10:10 / 조회 : 903회 |
---|
설사치료에 효과적인 콩 식품에 관한 연구□ 설사치료에 효과적인 콩 식품에 관한 연구 – 콩은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여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시켜 주고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로 심장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콩과 콩식품은 장 운동을 활발히 하고 장내 독소를 흡착하여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작용으로 장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이러한 콩식품이 유당불내증이나 세균성․바이러스성 균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설사중에도 치료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연구 보고되고 있다.
○설사의 정의와 원인 – 설사의 정의와 분류 임상적으로 설사란 묽은 변 또는 물 설사를 자주하는 현상으로 하루에 대변량이 250g을 넘고 하루 대변 횟수가 4회를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설사 지속기간이 2~3주 이상이 되면 만성설사, 그 이하인 경우 급성설사로 분류되며, 발생원인에 따라 삼투성 설사, 분비성 설사, 장점막 손상에 의한 설사, 장운동 장애에 의한 설사로도 분류된다. – 설사의 발생기전 ① 삼투성 설사 – 삼투성 설사는 장관 내에 흡수가 잘 안되거나 흡수 불가능한 물질의 농도가 높을 때 삼투압의 증가로 인해 수분이 혈액에서 장관 내로 이동하게 되어 발생한다. 이는 과식한 경우, 이당분해효소 결핍, 삼투압을 높이는 물질인 락츄로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섭취 등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② 분비성 설사 – 장점막의 구조적인 손상이 없이도 장관독소, 혈관작용, 소장펩타이드(VIP: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세로토닌(serotonin), 완화제(laxative), 담즙산, 지방산 등에 의하여 장관 내로 수분 및 전해질 분비가 일어나 유발되는 설사를 말한다. ③ 장점막 손상에 의산 설사 – 장 점막 안에서의 구조적 손상이 있을 때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장애가 있을 뿐 아니라 혈액 성분의 장관 내로의 삼출 때문에 설사가 일어날 수 있다.
④ 장 운동 장애에 의한 설사 – 신경성, 저온제품, 위산부족 시, 과민성 대장증후군, 자극성완하제, 팽창성 완화제, 자극성식품에 의한 수분과 전해질의 흡수에 장애를 일으켜 설사가 유발된다. – 유아설사 유아에게 나타나는 설사는 설사와 함께 탈수증세, 체중감소 등을 동반하여, 성인의 설사와는 달리 전신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쉽게 중증이 되므로 특히 위험할 수 있다. 유아설사는 각종 균에 의해 장관 내부가 감염되거나 특정 단백질에 알레르기 등 특별한 식품에 대한 장관이 과민반응을 보일 때 뿐 아니라 온도, 습도 등이 변화하거나, 영양이 부적당할 경우 생길 수 있다. 유아설사의 경우 대부분 구토를 수반하고 식욕부진이 되며, 탈수상태를 일으키며, 중증일 때는 경련 혼수를 일으키고 탈수로 사망하는 일도 있다. ○ 콩유아식과 템페가 설사에 미치는 영향 – 콩 단백과 콩 식이섬유를 함유한 유당제거 유아식이 설사 시간을 줄여준다 콩 유아식이 유아의 급성설사로 인한 영양손실과 설사 정도 그리고 설사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2~24개월 된 남아 설사 환자에 콩 분리단백과 콩 식이섬유를 첨가한 유당제거 유아식(SF)과 유당만 제거한 유아식(S)를 섭취시켜보았다. 그 결과, SF 섭취그룹에서는 설사 시간이 병원 입원 후 43시간이었으나, S섭취 그룹에서는 163시간이었으며, SF와 S그룹 사이에 인체 지수나 영양흡수 면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콩 단백과 콩 식이섬유를 함유한 유당 제거 유아식이 유아의 영양흡수나 인체 지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설사 기간을 줄여주는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일반 콩 유아식에 콩 식이섬유를 첨가한 경우, 세균성․바이러스성 균들에 의해 생기는 급성 설사를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6개월 이상 된 유아들을 대상으로 콩 식이섬유를 첨가한 콩 유아식의 설사치료 효과를 조사하였는데, 콩 식이섬유를 첨가한 콩 유아식을 섭취한 유아들은 설사시간이 9.7시간인 반면, 일반 콩 유아식을 먹인 경우는 23.1시간으로 콩 식이섬유를 첨가한 콩 유아식이 설사시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콩 유아식이 급성설사에 72%의 치료효과를 보인다 또 다른 연구에서 유당이 제거된 콩 유아식이 급성 설사 유아 환자의 설사기간과 설사 양을 감소시킨 결과를 얻었다. 급성설가 외래환자 유아들에 유당이 제거된 콩 유아식을 조기에 섭취시키거나 병원 치료 24시간 후에 섭취토록 한 결과, 조기에 섭취시킨 경우에는 환자 29명 중 21명인 72%에서 48시간 내에 설사가 치료 된 반면, 24시간 후에 섭취한 경우에는 27명 중 12명으로 44%에서만 치료효과를 보였다. 이렇게 콩을 기본으로 한 유당 제거 콩 유아식은 급성 설사환자의 치료에 안전하며 설사기간을 단축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콩 발효식품인 템페가 장독소형대장균의 감염으로 인한 체액손실을 감소시킨다 장독소형대장균(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1은 어린이들과 돼지에서 일어나는 설사의 중요 원인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발효 콩 식품인 템페가 장독소형대장균 감염으로 일어나는 소장의 체액과 전해질 손실에 어떠한 영항을 주는지 조사하기 위해, 장독소형 대장균에 감염된 돼지와 비감염 돼지들에게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템페를 먹이고, 대조군에는 템페 상등액과 식염수를 먹였다. 식염수를 섭취한 경우 장독소형 대장균 감염이 500 microl/cm2 수준으로 감소한 반면, 템페나 상등액을 먹인 경우는 각각 75, 282 microl/cm2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템페는 높은 전해질 흡수를 보이며, 체액 유지에도 효과적이었으므로 어린이에게도 장독소형 대장균 감염에 의한 설사로 체액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 템페가 장독소형 대장균 감염에 방어효과를 보인다 장독소형 대장균 감염에 의한 설사 치료에 대한 연구들을 좀 더 살펴보면, 2003년 발표된 논문에서 장독소형 대장균에 의해 설사를 발생시킨 돼지에 템페를 먹였더니 먹이 섭취 정도와 평균 일일 몸무게 증가 및 먹이 효율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항 설사 효과도 보였다. 또 다른 논문에서는 장독소형대장균(ETECK88)에 대한 템페의 방어효과를 조사하였는데, Rhizopus(거미줄곰팡이)속에 의해 발효된 콩의 수용성 추출물은 E. coli 와 Bacillus stearothermophilus 등의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였다. 또한, 템페 추출물은 ETEC K88에 의한 햄스터의 적혈구 세포 응집을 억제하며, 돼지 소장에서 ETEC K88의 세포막 흡착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처럼 템페는 ETEC K88의 소장 세포막 흡착을 억제하여 장독소형대장균 감염에 대한 방어효과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이들이 아프면 엄마의 걱정이 크다. 특히 설사의 경우 체액과 영양분 손실로 아이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특별한 약물요법이 있는 것도 아니기에 예방 및 음식조절이 중요할 것이다. 이미 많은 연구로 확인되었듯이 아이에게 먹일 수 있는 콩 식품으로서 콩 유아식이 유아 설사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우리 아이의 민감한 장을 설사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혹시 지금 설사로 고생하고 있는 아이가 있다면 아이가 먹기에 더욱 안전한 콩 유아식으로 대체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 사료된다. 1 장독소형 대장균(ETEC, Enterotoxigenic E. coli): 주로 개발도상국을 여행한 후 발생하는 설사질환의 주 원인균이며 유아설사증의 주원인이기도 하다. 장관독소(enterotoxin)를 내는 균에 의해 나타나며 장관독소는 점막세포 내에서 세포내 cyclic nucleotide pool을 변화시켜 수액 분비를 증가시켜 설사를 유발하게 한다. 복통과 함께 설사가 주로 나타나며 오심, 구토, 탈수, 산혈증이 나타난다. 병원소는 사람이며 오염된 식품이나 음료를 통해서 감염된다. <출 처 : 식품저널 2009년 11월호 > |
총 412개
번호 | 제목 | 파일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42 | 두부 압착장치 및 압착방법 | 관리자 | 491 | 2018-06-30 | |
41 |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균주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된장의 갈변 억제방법 | 관리자 | 485 | 2018-06-30 | |
40 |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콩 섬유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Soybean fiber for shoes inside lining and Insole therof | 관리자 | 613 | 2018-06-30 | |
39 | 유기 셀레늄이 강화된 발아콩 추출물의 용도 | 관리자 | 360 | 2018-06-30 | |
38 | 오메가-3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는 콩나물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성 아마씨유 함유 식품첨가제 조성물 | 관리자 | 461 | 2018-06-29 | |
37 | Guidelines for Healthy Soy Intake | 관리자 | 1758 | 2018-06-29 | |
36 |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억제하는 콩 제니스테인 | 관리자 | 1401 | 2018-06-29 | |
35 | 폐경기여성의 기억력과 인지기능에 도움이 되는 콩 이소플라본 | 관리자 | 350 | 2018-06-29 | |
34 | 임신 중의 콩섭취가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 관리자 | 3522 | 2018-06-29 | |
33 | 설사치료에 효과적인 콩 식품에 관한 연구 | 관리자 | 904 | 2018-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