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콩연구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콩정보센터 KOREA SOYBEAN SOCIETY

콩 연구자료

HOME  >  콩정보센터  >  콩 정보 및 자료 >  콩 연구자료
콩과작물 바이러스병의 발병 기작에 관한 연구(이기운 1987) By 문갑순 / 2018-07-22 PM 12:48 / 조회 : 334회

콩과작물 바이러스병의 발병 기작에 관한 연구

Epidemics of Viral Diseases on Legume Crops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연구책임자 : 이기운

발행년월 : 1987-10

주관부처 : 과학기술부

 

원문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0200012102&rn=&url=&pageCode=PG18

 

초록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such as detection of infected virus in major legume crops, mechanism of seed transmission in soybean mosaic virus, detection of infected virus in leguminous weeds, and ecological factors of insect vector by aphid in soybean mosaic virus. The results were summarised as follows. Soybean mosaic virus(30.0%), bean yellow mosaic virus(6.8%), peanut mottle virus(2.9%), bean common mosaic virus(1.3%), peanut stunt virus(1.3%), soybean stunt virus(1.3%) and tobacco mosaic virus-cowpea strain(0.9%) were detected on soybean, redbean, cowpea and peanut plants with viral symptomed collected in the fields. But bean pod mottle virus and cowpea mosaic virus were not detected in this test. The movement and presence of the virus particles were investigated in floral and seed parts which infected with soybean mosaic virus for the search of seed transmissinal mechanisms. Many virus paticles were detected in sepal, petal, stigma and anther, but not in ovule, hillum, seed coat and embryo. Soybea mosaic virus particles was observed in surface and inner cell of pollen, but was not in its germinated tube cell. The ovule was supporting with thick cell wall vascula strand, integuments and undeveloped plasmo-desmata. This physical construct ions caused that the virus particles easily can not move and maltiply from the mother body cells.

The soybean mosaic virus was detected in leguminous weeds from viral symptomed plants such as Amphcarpea edgeworthii, Astragalus sinicus, Cassia mimosoids, Crotararia sesiliflora, Glycine soja, Trifolium repens, Lespedesa pilosa, and young robinia seedlings. and transmissions were 4-8 percent in the Amphicarpea edgeworthii and Glycine soja Therefore, the infection of wild leguminous weeds contribut to the primary inoculum source in the soybean fields.

The incidence of soybean mosaic disease followed by one month after peak of aphid population. The number of aphids was less on leaves of soybeans with short and dense trichomes whereas it was higher on leaves of soybean with long and sparse trichomes. Generally, the number of aphids was decreased on leaves with long and dense trichomes as the growth progressed.

 

포장상태에서 주요 콩과 작물에 자연 감염된 바이러스병을 효소 결합 항체법(Elisa)으로 조사한 결과 대두, 강남콩, , 동부, 땅콩에서 SMV(30.0%), BYMV(6.8%), PMV(2.9%), BCMV(1.3%), PSV(1.3%), SSV(1.3%), TMV-C(0.9%), BLCMV(0.4%)의 순으로 감염되어 있었다. 그러나 BPMVCPMVcomovirus는 검정되지 않았다. 콩모자익 바이러스의 종자감염 기작 구명 위해서 꽃 부위와 종자 부위의 바이러스 이동 및 존재를 Elisa법으로 검정한 결과 꽃받침, 꽃잎, 암술대, 수술대에는 모체로부터 바이러스가 그대로 많이 존재 중식하고 있으나 종자부위인 난자(ovule), 배꼽(hillum), 종피(seed coat), (embryo)에로의 바이러스 이동 및 존재는 아주 적었다. 이것은 수정 기관인 씨방 보호를 위한 두꺼운 세포벽 및 원형질연락사의 미발달 등의 바이러스 입자의 이동 및 중식에 물리적인 장애물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아진다. 꽃가루의 표면 및 내부세포에는 바이러스 입자가 있으나 발아관에는 바이러스의 이동 및 존재가 검정되지 않았다. 야생 콩과 잡초에 자연 감염된 콩모자익 바이러스를 조사한 결과 새콩, 자운영, 차풀, 활나물, 돌콩, 크로바, 괭이싸리, 아카시아 유목에 이병되어 있었고 이들 중 새콩과 돌콩에서 4-8%의 종자전염이 되었으나 그외 식물에서는 종자 전염이 되지 않았다. 콩재배 포장에서 콩모자익 바이러스 매개 진딧물의 발생 밀도의 중감 1개월 후 부터 발병율에 차이가 나타났다. 엽모의 길이가 짧고 조밀한 것이 가장 매개 진딧물의 부착 및 흡착 선호성이 낮았고, 엽모가 길고 조밀한 것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선호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엽모가 길고 엉성한 것에 선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