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정보센터 KOREA SOYBEAN SOCIETY
[콩소식지4월]논에서 콩재배기술 By 관리자 / 2018-06-28 PM 10:35 / 조회 : 1505회 |
---|
[콩소식지4월]논에서 콩재배기술<논에서 콩재배기술2> 1. 논 콩 재배에 적합한 품종의 특성 논 토양은 수분이 많고 비옥하여 습해와 도복(쓰러짐)의 발생이 우려되지만, 이러한 습해와 도복을 피하게 되면 오히려 밭 재배보다 생육이 균일하고 콩알이 굵어지기 때문에 수량이 높아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논 재배에서는 콩알이 굵어지기 때문에 소립종자를 생산목적으로 하는 나물용 콩보다는 장류 및 두부용이나 밥밑용 같은 중대립종을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논 재배에서는 조생종 품종이 만생종보다 유리하고 밀식과 도복에 잘 견디고, 내습성이 강하며 먹뿌리썩음병 등 병해에 강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2. 품종 선택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 가. 재배지역 동일한 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생육기간 및 콩알의 크기가 달라지고 병해의 발생양상도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재배지역 장려품종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나. 생산용도 자가소비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다수확 품종을 재배하면 되겠지만, 정부 수매 또는 판매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용도별 품질규격에 적합하여야 제 값을 받을 수 있다. 다. 작부체계 논에서 콩 재배시에는 성숙기가 늦어지므로 전․후작 재배작물을 고려하여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 재식밀도 논에서는 밭 재배보다 입모율이 좋고, 생육이 왕성하여 과번무와 도복이 우려되므로 밭에서 보다 드물게 심어야 한다. 마. 파종시기 논 콩 재배에서 파종시기가 늦어진 경우에는 생육일수가 짧으면서도 초기생육이 왕성한 품종을 선택하여야 하며, 늦게 파종하게 되면 콩알이 작아지므로 콩알의 크기를 고려하여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3. 파종준비 가. 경운과 비료주기 심경은 토양의 공극율, 토양경도, 투수성 등 토양물리성을 개선하며, 하층토의 지력질소 이용과 심경에 의한 근권 확대로 생육을 왕성하게 하므로 가을이나 이른봄에 심경을 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논 토양의 통기성을 좋게하여 콩의 일생동안 필요한 질소량의 50%를 공급하는 근류균의 증식에 도움이 되며, 건토효과도 얻을 수 있다. 논은 대부분 점질토양이므로 비가오면 작토층이 굳어져서 파종작업이 어려우므로 파종직전 경운․정지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콩은 척박지에서 재배가 가능하다는 잘못된 인식으로 토양개량 없이 콩을 재배하여 왔으나 콩의 질소 흡수량은 고정질소 50%, 지력질소 40% 및 시비질소 10%로 생육하는데 지력질소를 높이려면 토양개량이 필수적이다. 콩은 타작물에 비하여 산성토양에 약하므로 석회를 시용하여 pH를 6.5~7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석회는 토양 산도를 중화시키고 칼리질 비료의 흡수를 돕고 질소비료의 과다 흡수 억제효과가 있다. 충북 단양의 석회암지대에서 콩 다수확 농가가 많이 나온 것이 하나의 좋은 예로 볼 수 있다. 퇴․구비의 시용량은 종류와 부숙 정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토양유기물함량이 1.6~2.5%일 경우에는 1,200㎏/10a, 2.6% 이상일 경우에는 1,000㎏/10a이며, 특히 유기물 및 석회시용 등 토량개량 없이는 250㎏/10a 이상의 다수확은 기대할 수 없다. 콩의 표준시비량은 성분량으로 N-P-K=3-3-3.4㎏/10a이나 토양의 비옥도가 포장마다 다르므로 토양검정치에 의하여 시비량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최근 농가에서는 대부분 복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때 질소 요구량을 기준으로 시용하고, 인산과 칼리는 단비로 보충하여 질소과용에 의한 과번무와 도복을 막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 ( )내는 실량임 * 콩 전용복합비료 시용시 40kg(2포)/10a |
총 125개
번호 | 제목 | 파일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15 | [재배정보]기계를 이용한 콩 수확과 관리 | 관리자 | 720 | 2018-06-29 | |
14 | [콩재배이야기]콩농사의 갈무리 | 관리자 | 790 | 2018-06-29 | |
13 | [재배정보] 8, 9, 10월의 주요 콩 생육단계와 다수확을 위한 콩의 결실생리 이해 | 관리자 | 1237 | 2018-06-28 | |
12 | 무더운 여름철 콩밭관리 | 관리자 | 2577 | 2018-06-28 | |
11 | 기후변화대비 병과 재해에 강한 콩 신품종개발 | 관리자 | 438 | 2018-06-28 | |
10 | 국내 두류 및 잡곡류 생산 통계조회(2000~2009) | 관리자 | 398 | 2018-06-28 | |
9 | [콩 상식]콩의 세계 최대 생산지는 브라질의 Mato Grosso주이다 | 관리자 | 1104 | 2018-06-28 | |
8 | [콩소식지6월] {논에서 콩 재배기술④} | 관리자 | 491 | 2018-06-28 | |
7 | [콩소식지4월]논에서 콩재배기술③ | 관리자 | 857 | 2018-06-28 | |
6 | [콩소식지4월]논에서 콩재배기술 | 관리자 | 1506 | 2018-06-28 |